웹소설 팁/연재 팁

웹소설 지망생을 위한 웹소설 연재 팁 (2). 소설의 분량

알소 2023. 3. 11. 17:01
반응형

dcinside 웹소설 연재 갤러리 펌. 일부 수정.

원문 글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gijjdd&no=192787

 

 

두 번째 글에서는 소설의 분량에 대해 다뤄 볼 거야.

내가 생각해 놓은 소설은 대체 어느 정도의 분량으로 써야 작품성과 상품성을 잡을 수 있을까?

내가 총 세 작품을 완결했는데 경험상 소설의 최소 분량은 150편이 마지노선이라고 생각해.

조아라 기준으로 14kb가 한 편이 되겠고 문피아 기준으로는 12~14쪽의 분량이야.

 

그럼 도대체 이 분량을 어떻게 채우면서 글을 쓸까? 내가 그동안 사용했던 원고지 양식을 망생이들에게 공유해 줄게

이게 바로 내가 사용하는 소설의 목차야.

칸 하나당 1편으로 되어 있고, 11편당 하나의 사건(기승전결) 그리고 5개의 사건당 하나의 분기점이지.

총 3개의 분기점이 돼서 작품 하나가 돼.

맨 위에 회색칸은 하나의 사건에 대해 그 주제를 써넣는 칸이야.

막무가내로 기승전결을 짜는 것보다 11편의 이야기가 어떤 이야기인지 몇 단어로 핵심 키워드를 만드는 거지.

 

자, 그럼 한 편당 분량은 어느 정도 인지 구체적으로 설명해 볼게

이게 바로 내 원고지 '한 페이지'의 분량이야.

한글 문서 기준으로 페이지 설정은 이렇게.

이렇게 해놓는다면 총 5페이지를 여유 있게 채울 시, 위에서 말했던 조아라 14kb ~15kb, 문피아 12~14쪽 분량이 완성돼.

"왜 다단을 사용해?"

라고 한다면, 최대한 채워 넣을 원고지의 목표치를 적은 숫자로 나타내기 위해서야.

같은 분량이라도 A4에 20장을 써넣는 것보다 저렇게 다단으로 어떻게든 욱여넣어서 5장으로 줄인다면,

하루 연재분량을 채울 수 있는 목표치가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느낌이 들거든.

아무리 돈벌이라지만 편한 마음으로 쓰고 싶잖아 그렇지?

글씨체는 한컴돋움 11P로 하고 글간격은 160으로 해놓는 게 좋아. 표준글씨체를 사용하는 걸 권장해.

두 번째 글에서는 소설의 분량에 대해 다뤄 볼 거야.

내가 생각해 놓은 소설은 대체 어느 정도의 분량으로 써야 작품성과 상품성을 잡을 수 있을까?

내가 총 세 작품을 완결했는데 경험상 소설의 최소 분량은 150편이 마지노선이라고 생각해.

조아라 기준으로 14kb가 한 편이 되겠고 문피아 기준으로는 12~14쪽의 분량이야.

그럼 도대체 이 분량을 어떻게 채우면서 글을 쓸까? 내가 그동안 사용했던 원고지 양식을 망생이들에게 공유해 줄게

이게 바로 내가 사용하는 소설의 목차야.

칸 하나당 1편으로 되어 있고, 11편당 하나의 사건(기승전결) 그리고 5개의 사건당 하나의 분기점이지.

총 3개의 분기점이 돼서 작품 하나가 돼.

맨 위에 회색칸은 하나의 사건에 대해 그 주제를 써넣는 칸이야.

막무가내로 기승전결을 짜는 것보다 11편의 이야기가 어떤 이야기인지 몇 단어로 핵심 키워드를 만드는 거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