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두운 바다의 등불이 되어> 13화~25화 분석
https://ridibooks.com/books/425270925?_rdt_sid=fantasy_webnovel_reading_book&_rdt_idx=3
어두운 바다의 등불이 되어
3,000m 아래 해저기지에입사한 지 닷새 만에 물이 샌다고?...
ridibooks.com
리디북스 판타지 부문 랭킹작
작가: 연산호
출판: 문피아
장르: 현대 판타지
연재 주기: 매주 월, 수, 금 오후 9시 연재
13화
-드디어 사건이 터졌다. 해저기지에 물이 새기 시작했다. 주인공은 가장 먼저 상황을 알아차린다. 그는 뛰어다니며 방마다 자는 사람들을 깨운다.
→주인공이 활약을 해야 하는 게 중요!
14화
-다른 사람들이 이제 그만 가자고 말하지만 주인공 무현은 나머지 방도 둘러보고 사람들을 끝까지 구조한다. 7살 아이도 구출하게 된다. 탈출정 쪽으로 걸어가는 것으로 해당 화를 마무리한다.
15화
-신해량과 처음 대면한다. 신해량의 미모와 카리스마가 드러나는 대사가 나온다. 남아 있는 탈출정이 없어서 주인공과 생존자들은 탈출 방법에 관 토의한다.
16화
-주인공이 사망자의 사망 선고를 하는 장면이 나온다. 자기가 구해준 사람에게 고맙다는 인사를 듣는 장면이 나온다. 주인공이 선한 행동을 한 이유가 잠깐 나오는데, 큰 사명감이 아니고 양심에서 우러나오는 것이어서 주인공에게 호감을 더한다.
17화
-주인공은 주작동에 갇힌 걸로 추정되는 사람들을 구하기 위해 나선다. 자원자를 받으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지원하지는 않는다. 유금이가 지원하는데, 그녀는 자기 연구팀과 지도 교수를 구하기 위해 나선 것이다.
18화
-신해량과 백애영도 주인공을 따라나서기로 한다. 나머지 생존자는 원래 목적지인 현무동으로 향한다. 주인공이 구출한 아이는 신해량이 업고 다닌다.
19화
-주인공 일행은 탈출정의 대부분이 수면으로 향하지 못한 것을 깨닫는다. 신해량은 누군가 탈출정에 손을 댄 것이라고 말한다. 주작동에 갇혀 있는 사람들이 또 다른 게시물을 올려 자신들의 생존을 알린다.
20화
-물이 목까지 차오르는 주작동에 들어가 갇힌 생존자 김가영을 구출한다. 게시글에는 5명이 갇혀 있다고 했는데, 김가영이 거짓말을 친 것이었다. 20화의 마지막은 서지혁이 넘어지면서, 주인공이 같이 물에 끌려들어가는 것으로 끝이 난다.
21화
-신해량이 주인공과 서지혁을 끌어당겨 물속에서 건진다. 김가영과 유금이는 눈물로 해후하고, 주인공 일행은 탈출 방법을 모색한다. 그들은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기로 마음먹는다. 중간중간 주인공이 유머러스하게 대사를 치는 게 독자들에게 유효하게 먹힌다.
22화
-신해량과 주인공의 대화가 주를 이룬다. 신해량이 왜 주작동에 구출을 도우러 갔는지에 대한 이유가 나온다. 저자는 신해량과 주인공의 브로맨스를 그리려고 공을 들이는 것 같다. 별 사건은 일어나지 않고, 다음 화를 궁금하게 만드는 스토리가 나온다. 주인공 일행이 영화관에 숨었는데, 잠시 뒤 바깥에서 많은 사람들이 비명을 지르며 도망치는 장면이 그것이다.
23화
-아이가 눈을 뜨고 주인공은 아이의 입단속을 시킨다. 영화관에 누군가 한 명이 들어오고 주인공 일행은 그를 제압하고 상황 설명을 요구한다. 들어온 사람은 제니퍼 스미스. 그녀는 현무동에 있었던 소란을 설명한다. 탈출정을 차지하기 위해 일본인 엔지니어가 총을 쐈다는 것이다.
24화
-주인공 일행은 청룡동으로 가지 않겠느냐고 제니퍼에게 제안하지만 그녀는 거절한다. 7살짜리 헨리는 제니퍼를 따라간다고 하고, 김가영도 그 아이를 보호하기 위해 따라간다고 한다. 주인공 일행 중 일부가 용병 소속이라는 것을 밝힌다. 또한, 어뢰가 기지를 공격하는 것을 봤다고 말했다.
25화
-편의점을 털어 식량을 확보한다. 기지의 생명유지장치가 고장나 온도가 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웹소설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소설 추천: <임기 첫날에 게이트가 열렸다> 분석 (0) | 2023.02.24 |
---|---|
<전지적 독자 시점>처럼 완벽한 도입부를 쓰는 팁 (0) | 2023.02.24 |
<어두운 바다의 등불이 되어> 1화~12화 분석 (0) | 2023.02.14 |
<킬 더 히어로> 분석 (0) | 2023.01.21 |
웹소설에서 회귀물을 쓰는 이유 (0) | 2023.0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