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웹소설 팁/글쓰기 팁

컨셉에 어울리는 글쓰기를 하는 방법

by 알소 2023. 1. 15.
반응형

dcinside 웹소설 연재 갤러리 펌. 일부 수정.

원문 글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lists?id=tgijjdd

 

웹소설 연재 마이너 갤러리 - 커뮤니티 포털 디시인사이드

웹소설 연재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곳입니다 - 웹소설 연재 갤러리에 다양한 이야기를 남겨주세요.

gall.dcinside.com

 

컨셉에 대해 깊이 파악해보자.

보통 웹소설의 시작점이 되는 발상은 세 개가 대표적이다.

소재, 테마, 캐릭터.

 

이 중 소재를 기반으로 설명하겠다. 기본적인 소재로 음악을 예시로 들겠다.

음악.

너무 광범위하고 모호하다. 소재의 확장이 필요하다. 그럼 장르적인 요소를 위해 능력을 넣겠다.

무슨 능력이 좋을까? 차별점을 주고 싶은데.

 

좋아, 나는 꿈 속에서 수련을 하겠어. 자각몽이 좋겠다. 아님 죽은 누군가를 만나서 가르침을 받을까?

 

아주 많은 요소들이 공존한다. 그 중 하나를 선택한다. 그럼 컨셉은 명확해진다.

 

'꿈을 통해서 수련한 주인공이 음악계에서 성공한다.'

 

이게 완결까지 끌고 가야 할 컨셉이고 잊어서도 안 된다.

 

다음은 뭘 준비할까?

'제목이다.'

 

음악과 꿈. 이걸 어떻게 조합할까?

음악이라면 직업적인 가수, 싱어, 작곡가, 프로듀서, 노래 등 단어가 있다.

꿈이라면, 자각몽, 루시드드림, 꿈 속 과외 등 많은 어휘가 있다.

이 중에서 조합을 하게 된다.

대표적으로 '꿈만 꿔도...' 시리즈가 여기 속한다. 이런 맥락에서 시작된 제목들이다.

 

(제목 발상인 망나니물도 마찬가지다. 망나니라는 제목을 컨셉으로 두고 역으로 쓰면 접근하면 된다)

 

자, 다음으로 넘어가보자.

'컨셉이 완성 되었으니, 컨셉을 살릴 수 있는 구성을 해야 한다. '

 

꿈을 통해서 차차 성장한다.

이 얘기는 비록 처음은 미비하지만 뒤로 갈수록 능력이 성장한다는 얘기다.

그럼 여기에 어울리는 시작점은 뭐가 좋을까?

 

일반인(대학생), 기획사 연습생, 가수 지망하다가 실패한 보컬 트레이너, 실패한 프로듀서, 한물 간 작곡가, 실용음악과 학생 등.

이 중에 선택을 하게 되는데...

 

일반인(대학생)을 선택하겠다. 예시로 들기 무난하고 평범한 만큼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있으니까.

(캐릭터는 배제하고 얘기하겠다)

 

그럼 컨셉을 살리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까?

' 에피소드를 찾아야 한다. '

일반인을 선택했으니, 일반인이 접근할 관점의 에피소드부터 시작한다.

 

쉬운 게 주변인들과 노래방을 들 수 있다. 여자친구나, 동아리, 동창회 등에서 갑자기 늘어난 음악적 역량 발휘.

자연스럽지만.. 아주 천천히... 독자들로 하여금 주인공에게 기대감을 갖게 만들어야 한다.

 

그 다음은?

여기서부터 선택지가 넓어진다.

오디션 프로그램 출전, 대학가요제, 노래방에서 캐스팅, 유튜브 등 무수히 넓다.

 

글의 색깔이 결정되는 시점이기도 한다.

뭘 선택하는 게 베스트일까?

중요한 건, 여기서 컨셉을 생각해라.

'꿈을 통해 성장하는 일반인 가수'

아!

성장이라는 조건이 붙는다면, 점층적으로 경쟁을 통해 성장을 보여줄 수 있는 오디션 프로그램이 제격이구나!

그럼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매 라운드를 거치며, 심사위원이나 대중의 평가를 뛰어넘으면 사이다가 되겠군!

이런 요지가 된다. 설령 그 선택이 틀렸다 할지언정, 컨셉을 살린다면 기본은 간다.

 

뒷이야기 역시 마찬가지다.

단숨에 탑가수로 오르기 보단, 차츰 다양한 재능을 익히고 발현하며 대중의 편견과 상식을 깨는데 이 컨셉의 재미가 있다.

뒷내용 역시 마찬가지다. 배경, 환경, 주변인, 에피 등은 바뀌지만 맥락은 같다.

 

(추신)

위 내용은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예시입니다.

실제 글을 쓰는 건 더 힘들고 고된 작업이고 고뇌가 필요합니다.

-------------------

소재를 어떻게 확장해야 할지 알려주는 글이다. 소재를 생각할 때 자연스럽게 생각하게 되는 기본적인 과정이다.

반응형

댓글